2023. 3. 29. 09:48ㆍ학부 과정/전자회로
예제 2.4
gain이 -10을 갖게 하고 resistance를 100k옴이다. r1과 r2를 구하여라
Ri=Vi/i1, i1=Vi-o/R1 식을 대입하면, Ri =R1이다. output resistance를 구하기 위해서는, 앞 장에서 살폈듯이, 테브닌 등가회로처럼 입력 전압과 전류를 0으로 놓으면 두 입력 단자의 전압차이가 0이기 때문에 0으로 나온다.
예제 2.5
트랜스레지스턴스 amplifer가 입력의 current를 받아서 출력이 전압이 나오는 구조이다. 입력저항에 따라 출력이 나오는 구조이다. Rm=Vo/i (Vo=Rmi), Ri=Vi/i, Ro=Vo/i (Vo=Vi-Ri)
전류는 전압이 높은 데서 낮은 데로 흐른다. 만일 전압이 같다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예제 2.6
power gain = Po/Pi = Vo*Io/Vi*Ii =Av*Ai이다. op-amp의 중요한 역할: 전류를 driving할 수 있다. 즉, 막 뿜어낼 수 있다.
voltage gain에 -가 붙으면 phaze가 역으로 됨을 의미한다. Av=10 , Ai=10 Ap=100 따라서 dB로 나타내면 20dB이다.
op-amp의 또다른 사용 예
figure 2.11 가중치를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하여 덧셈, 뺄셈, 곱셈 연산이 가능하도록 회로 설계가 가능하다.
예제 2.7
두 개의 전압을 이용해서 Vo의 가중치 형태로 Vo= -(v1+5v2)로 만들어라. 이때, Vo은 최대 10v이고, 전류는 1mA를 넘지 말아야한다.
'학부 과정 > 전자회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부 과정] 전자회로 9주차 (0) | 2023.04.26 |
---|---|
[학부 과정] 전자 회로 op-amp [7] (0) | 2023.03.29 |
[학부 과정] 전자 회로 op-amp[5] (0) | 2023.03.29 |
[학부 과정] 전자회로 op-amp [4] (0) | 2023.03.28 |
[학부 과정] 전자회로 op-amp[3] (0)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