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백트래킹(2)
-
백트래킹_N과M(1)
이전 포스팅과 비교했을 때, 이건 기본적인 백트래킹의 매커니즘을 이용한다. 첫째 줄에 자연수가 n과 m을 입력받아서 한 줄에 하나씩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열을 출력한다. 중복되는 수열을 여러 번 출력하면 안되며, 각 수열은 공백으로 구분해서 출력해야 한다. 수열은 사전 순으로 증가하는 순서로 출력해야한다. import sys #sys.stdin=open("input.txt", "rt") M, N = map(int,input().split()) s = [] def dfs(): if len(s)==N : print(' '.join(map(str,s))) return for i in range(1,M+1): if i not in s: s.append(i) dfs() s.pop() dfs() 이전 포스팅과 ..
2023.02.28 -
암호찾기 백준 9663
우선 문제 해석부터 1. 최조교가 방 열쇠를 주머니에 넣고 서울로 가버림 2. 대안책으로 702호에 새로운 보안 시스템 설치하는데 열쇠가 아니라 암호로 동작 3. 암호는 서로 다른 L개의 알파벳 소문자들로 구성되며 최소 한 개의 모음(a, e, i, o, u)과 최소 두 개의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정렬된 문자열을 선호하는 조교들의 성향으로 미루어 보아 암호를 이루는 알파벳이 암호에서 증가하는 순서로 배열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즉, abc는 가능성이 있는 암호이지만 bac는 그렇지 않다. 4. 새 보안 시스템에서 조교들이 암호로 사용했을 법한 문자의 종류는 C가지가 있다고 한다. 이 알파벳을 입수한 민식, 영식 형제는 조교들의 방에 침투하기 위해 암호를 추측해 보려고 한다. C개..
2023.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