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2)
-
[학부 과정] 데이터 통신 12주차
블록 코딩 에러 디텍션과 에러 커렉션에 가장 쉽기 설명하기 위해서 해밍코드, 짝수 패러티는 블록 코딩의 계열이다. 74 해밍코드는 4비트를 7비트로 만든다는 소리이다. 카톡에서 메시지는 바이너리 시퀀스로 바꾸면 긴 비트로 나오는데, 4비트로 쪼개서 자동으로 7비트를 만든다. 만들어진 비트는 블록단위로 처리하기 때문에 블록 코딩이라고 한다. 채널 상태에 따라 데이터를 많이 보낼지 말지 정한다. 데이터의 크기는 가변적이다. 내가 보낼 데이터는 블록 단위로 해서 인코딩을 한다. 씨클릭 코드는 에러디텍션에서 쓰이는 코드이다. 나눗셈 연산을 이용한다. 보낼려는 시퀀스를 다항식으로 표현한다고 가정하고 나머지 세 비트는 000을 넣어서 7비트를 만들어준다. 최종적으로 나머지를 000과 바꿔준다. 뺄셈이 덧셈과 동일하..
2023.05.15 -
[github] 모든 것
cat “파일 이름” - 파일 내용 출력 touch “파일 이름” - 파일 생성 touch -mht “날짜” “파일 이름, 경로” m - 현시간으로 파일의 수정, 변경시간을 수정 t - 지정한 시간으로 접근, 수정시간을 수정되고 변경시간은 현재시간으로 수정 mht - symlink의 시간을 수정 chmod “권한” “파일 이름, 경로” - 권한 변경 ls - 현재 경로의 풀더, 파일을 보여줌 l - 자세히 보여줌 T - 시간을 자세히 보여줌 A .와 ..을 제외하고 목록을 출력 t 파일이 수정된 시간 기준으로 정렬하여 출력 p 디렉터리에 /를 추가 m 콤마로 구분하여 출력 ln “하드 링크할 파일” “파일 이름” - 지정한 파일 이름으로 파일 생성 및 하드 링크 patch -R - old/new 순서를 ..
2023.05.15 -
[학부 과정] 전자기학 <정전 경계값>
이전 포스트에서는 전기장 E을 구하기 위한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전하의 분포를 알고 있을 때는 콜롬 법칙이나 가우스 법칙을 사용한다고 했다. 그러나 대부분 실제의 경우 전하 분포나 전위 분포는 알려져 있지 않다. 어떤 경계에서의 정전기장의 조건 (전하와 전위)만을 알고 있는 실제 전기장 문제를 고려하여 영역 전반에서의 V와 E를 구하도록 한다. 그러한 문제의 해는 Possion이나 Laplace 방정식 또는 영상법에 의해 구해진다. 이러한 방법을 경계값 문제라고 무른다. 저항과 정전 용량의 개념을 다룰 것이다. 물체의 저항과 커패시터의 정전용량을 구하는데 Lap
2023.05.15 -
[학부 과정] 전자기학 <경계 조건 Boundary Condition>
5장 경계조건 자금까지 배운 내용들은 균질 매질에서의 전기장을 고려했다. 만약에 전기장이 두 개의 서로 다른 매질로 이루어진 영역 내에 존재한다고 할 때,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전기장이 만족해야 할 조건을 boundary condition이라고 한다. 이러한 경계 조건은 경계면의 한 쪽에서 전기장을 알고 있을 때, 나머지 다른 쪽의 전기장을 구하는데 도움이 된다. 1. 유전체와 유전체 2. 도체와 유전체 3. 도체와 자유공간 경계조건을 구하기 위해서는 Maxwell 방정식 (전위차이는 경로와 무관)을 이용하여야 한다. 이전 포스트를 참고하면 된다. 그리고 를 이용하면 된다. A. 유전체와 유전체 경계조건 B. 도체와 유전체 경계조건 도체는 완전도체로 가정한다. C. 도체와 자유공간에서 경계조건 문제
2023.05.15 -
[학부 과정] 데이터 통신 10주차
MAC CSMA Carrier 신호를 감지한 다음, 잠깐 채널을 모니터링을 하고 미디엄의 상태를 체킹하고 안쓰고 있다면 쓴다. 나말고 누가 쓰고 있는지 체킹하는 방법: 전압 신호 5V를 계속 보내고 있음. 에너지 신호의 전력을 구하는 방법은 제곱해서 적분한다. 시간으로 나누어주면 전력. 쭉 더해지면 에너지이다. 만약 신호가 아무것도 안보내졌다면, 명시적으로 +5v -5v보단 작을 것이다. 신호를 보내는 채널이 있을 때, 미리 자기가 모니터링을 하면서 전압신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취약 신호 Vtime은 충돌이 날 가능성이 있는 시간이다. 전체 시스템의 취약 시간은 제일 멀리 떨어져있는 놈의 propagation을 기준으로한다. 가급적으로 충돌이 안나게끔 적게 만들기 위해서 vtime은 성능(throu..
2023.05.14 -
[학부 과정] 데이터 통신 11주차 [3]
와이파이 무선랜 액세스포인트에서 무선 접속을 할 수 있다 애드혹 네트워크는 임시적으로 생성된 망 무선 채널의 특징 감쇠, 간섭 (통신을 하는 여러 주체가 있으면 보내는 신호가 원하는 신호가 다른 사람한테도 갈 수 있음) 주파수를 아예 나눠서 하는 방법 OFDM multipath propagation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무선통신을 힘들게 하는 요소이다. 자세한건 4학년때 wireless lan 은 csma/ca를 쓴다. 무선채널에서 사용되는 단말의 특징은 베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충분한 전력을 갖고 있지안다. csma/cd는 알로하에 비해 좋아졌지만 여전히 충돌이 벌어지기 때문에 충분하지 않다. 유선채널보다 무선채널에서 감쇠가 많이 된다. hidden station probllem 중심주파수 와 대..
2023.05.14